죄와 벌은

한 청년, 라스콜리니코프가 대의를 위한 살인을 저지른 후 심리적 고통에 시달리다 자신의 그릇된 사상을 깨닫고 갱생해나가는 이야기이다. 


19세기 러시아 작가 도스토예프스키는 당시 많은 젊은이들이 그러하듯 반체제 모임에 가담하고 있었는데 운 나쁘게 이 모임은 비밀 경찰에게 발각되어 멤버들은 전부 사형선고를 받게된다.

그러나, 5분 뒤 총살 예정이었던 도스토예프스키는 황제의 특사로 사형을 면하게 되었고 시베리아 감옥에서 4년간 유배생활을 하게 된다. 

(*사형직전 행 집행을 면하는 사건은 황제가 꾸민 일 이었다. 반체제를 지지하는 젊은이들에게 본보기로 보여주기 위해.)

이러한 생사가 뒤집히는 극단적 경험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사상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다. (비극 속 낙관주의)


죄와 벌 줄거리

죄와 벌의 주인공 라스콜리니코프는 지독한 가난에 시달리고 있는 대학생이었다. 그 당시 대학생의 위상은 높았고 존경받는 위치였으나 라스콜리니코프는 더럽고 악취나는 작은 방에서 돈이 없어 학교도 못가고 심지어는 굶주리고 있었다. 

이런 와중에 라스콜리니코프를 더 처절하고 분노하게 만드는 어머니의 편지를 받게 되는데 사랑하는 여동생 두냐가 오빠인 자신, 라스콜리니코프의 학비를 벌기 위해 가정교사로 들어간 집의 주인으로부터 성추행을 당하고 있다는 것이었다. 게다가 선불로 받은 돈 때문에 그 집에서 빠져나오지도 못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. 

​나중에 두냐는 가까스로 이 집을 빠져나왔지만 이후에 오빠를 돕기 위한 결혼을 한다. 인맥을 만들기 위해 비열하기로 소문난 어느 중년 변호사와 약혼한 것이다. 또 다른 족쇄가 채워졌다.

​이러한 두냐의 상황을 알고 라스콜리니코프는 폭발한다. 그리고 공리주의와 초인사상에 잠식당한다. 

  • 공리주의 : 도덕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목적으로 한다.
  • 초인사상 : 인간은 두 부류다. 살인, 학살도 허용된 나폴레옹과 같은 비범한 자와 평범한 인간

​라스콜리니코프는 돈 많은 고리대금업자인 ‘나쁜’ 노파 한 명을 죽이고 ‘선량’하고 가난한 여러 사람을 돕겠다는 결심을 한다. 자신을 비범한 자 즉 초인이라 여긴 것이다. 

결국 노파를 도끼로 죽이고, 더해서 현장을 목격한 노파의 여동생까지 살해하게 된다. 이 살인은 절대 다수의 행복을 위한 선한 행위였기 때문에 라스콜리니코프는 대수롭게 여기지 않았다.

​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심리적 고통이 라스콜리니코프를 옥좨였다. 살인 후에도 분노는 풀리지 않았고 오히려 더 불안하고 마음이 안좋았다. 라스콜리니코프 스스로가 자신이 생각하던 진정한 초인이었다면 이런 심리적 고통은 없어야 할 것이다. 대량 학살도 아닌 두 명 만을 죽였을 뿐인데 불안에 떨고있는 스스로의 모습에 비로소 자신이 초인이 아니라는 걸 깨닫는다. 살인 하겠다는 생각에 사로잡혔던 자신의 모습, 끝내 살인을 저지른 어리석음, 후에 불안에 떠는 소심함과 비열함에 라스콜리니코프는 스스로에게 혐오를 느낀다.

이 후 매춘부 소냐를 만나게 되고 소냐의 무조건적인 지지와 사랑을 받으며 결국 살인을 자수하고 갱생해나아간다는 이야기이다.


작가 도스토예프스키

(Fyodor Mikhailovich Dostoevsky (1821. 11. 11~1881.2.9)

도스토예프스키는 사실주의 작가로 문학에는 당대 상황이 고스란히 반영되어있다. 러시아는 1861년 농노가 해방되며 도시 인구가 두 배 이상 늘어났고 급격한 도시 팽창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퇴폐적인 뒷골목 문화를 생성했다. 많은 사람들은 찢어지는 가난에 시달렸고 희망 없이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갔다.

​도스토예프스키는 그러한 시대를 살았고 가난으로 쉽게 부서지는 인간 영혼의 모습을 자기 문학에 표현하고 있다. ​또한 인간은 고통받을 수 밖에 없는 존재이며 그로써 성장해 나간다는 메세지도 전해주고 있다.

​‘죄와 벌’에 녹아있는 비극적 사회와 인간의 모습은 과거 뿐만 아니라 현재와 먼 미래에도 통용 되는, 시대를 관통하는 인간의 모습이지 않을까 하는 씁쓸한 생각이 든다.